원인을 모르면 결과라도 따라해본다?

중국의 전설적인 미인이라던 월나라 서씨 이야기를 아세요? 이 미녀가 아파서 찡그린 표정까지도 아름다워서 주변 여자들이 그 표정을 따라했다고 하네요.

사무실 내 뒷쪽편에 앉아서 일하는 젊은이는 한눈에 보아도 선하게 생긴 퉁퉁한 녀석인데요 (동물학을 대학에서 전공하고 동물들과 함께 지내는 것이 꿈이라네요. 지금은 전산일을 하고 있지만서도), 하루종일 양발로 재봉틀을 돌리고 있어요. 한쪽 발을 떠는 넘은 가끔 보았어도 이렇게 양발을 하루 종일 쉼없이 일하면서 떠는 넘은 나도 처음 🙂 그런데 덧붙여서 하루 종일 기지게를 켜요. 아마 나름대로는 어떤 실내체조랍시고 (혹은 마이크로포즈?) 의도적으로 하는것 같아요. 이런말을 하면 듣는 사람들이 기분이 좀 안좋겠지만, 나는 이 젊은이가 세상에 산 기간보다도 더 오랜 기간동안 매일 하루에 8시간 이상을 컴퓨터앞에서 일을 해왔어요. 물론 오래전에 한때 손목이 아팠던 적이 있었고 (아마도 손목수근관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또 눈도 불편했던 적이 있었어요. 하지만 꾸준한 운동과 관리로 지금도 아무런 불편함이 없이 일하고 또 이 젊은이가 이미 끼고 있는 안경도 쓰지 않아요. 자주 단것과 기름진 것들을 사먹는 이 녀석의 버릇을 보면서 ‘야! 이넘아 나가서 좀 뛰고 운동을 해라. 하루 종일 양다리나 달달 떨고 기지게 켜면서 운동이랍시고 쥐랄하지 말고’ 이런 생각이 목 바로 아래까지 올라와요.

아마 한국이었다면, 소위 말하는 꼰대 고참이 그런 말을 했을지도 모르겠네요. 하지만 이곳에서는 No no! 절대 그런말 하면 안되요. 개인적으로 반발할 뿐만 아니라 좀 못된 넘이라면 매니저나 인사부를 통해서 공식항의를 할수도 있어요. 이곳은 그만큼 개인주의가 발달한 곳이랍니다. 며칠전에 말했던 드라마 ‘미생’에서 나오는 그런 끈끈한 직장생활은 (어떨때는 너무 끈적끈적?) 이곳에서는 그 누구도 상상조차 하지 않아요. 일 마치고 한잔? 어쩌다 그런 분위기의 직장도 드물게 있긴 한데요 (젊은이들이 위주인 환경 혹은 매니져가 술꾼인 직장등) 대부분은 ‘일 마치고 문 나서면 남남’이며 인생은 ‘집에서 개인적으로 찾는것’이라는 생각이 보편적이예요.

한가지 이야기를 더 할까요. 혹시 짐바브웨란 나라의 무가베란 독재자를 기억하세요? 이 넘이 짐바브웨라는 나라에 끼친 해악을 들으면서 (나도 짐바브웨 사람 2명을 친구로 또 직장동료로 옛날에 알고 있었어요. 물론 이 사람들과 정치 이야기는 하지 않았지만서도요) 와! 이넘은 왜 이렇게 죽지 않고 장수를 하는 것인가? 언제 이넘이 죽어서 짐바브웨 사람들이 숨을 쉬고 정상적인 삶을 살수가 있을까 이렇게 늘 저주를(?) 퍼부었어요. 이 나쁜 넘은 100살에서 몇살 빠지는 천수를 누리다가 죽은지가 얼마되지 않았어요. 그런데 말입니다 🙂 이넘이 죽고 나서부터 짐바브웨에 평화와 번영이 왔을까요? 아니, 오기 시작했을까요? 썩은 이빨을 빼고 나면 건강이 저절로 오는 것일까요? 왜 썩은 이빨이 처음부터 생긴 것일까요? 그 썩은 이빨을 허락했던 구강환경과 생활습관이 발치로 말미암아 저절로 달라질까요? 담배를 끊는다고 저절로 건강해질까요? 대통령을 잘 뽑기만 하면, 아니면 지도층의 잘못을 끊임없이 크게 비난하고 그 사람들을 갈아치우면 세상이 정말 달라질까요?

무가베나, 지금 감옥에 있는 극히 함량미달인 전직 여자 대통령같은 사람들을 제외한다면 (년전에 한국을 방문했을때 친구들 중에서 이 여자를 크게 비난하는 사람이 있었는데요 나는 속으로, 국민의 투표로 뽑은 한 나라의 수장을 이런식으로 막말하고 조롱해도 되는가 반발심이 많이 들었었어요. 이 여자의 실체가 차마 그렇게까지 골때리는 줄은 나도 상상을 못했었던 것이었지요), 내가 생각하건데, 대부분의 지도자들은 ‘잘하면 70점 못해도 60점’ 정도가 아닐까요? 우리는 한사람의 예외도 없이 똑같은 생물학적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또 비슷한 문화와 환경의 산물입니다. 아무리 날아도 100미터를 보통 사람보다 2배 이상 빠르게 뛸수가 없고 마라톤을 절반보다 더 빨리 완주할 수가 없어요. 그저 비슷한 사람들입니다. 길고 오래 크게 본다면 말이지요. 자기가 못하는 것을 왜 그렇게 다른 사람들에게 기대하고 강요하면서 못살게 하는지 모르겠어요. 자 이제 본론으로 🙂

현대에 들어와서 소위 선진국이라고 하는 나라들 중에서 집단주의나 독재주의가 발달한 나라는 없습니다. 거의 모든 선진국들이, 이전에 블로그에서 말했듯이, 개인주의가 발달해 있습니다. 사무실 뒤에 앉은 젊은이가 직무와 관련된 어떤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이상 그 누구도 그의 개인적인 버릇이나 취향 혹은 선택에 대해서 왈가왈부 하지 않는것이 ‘보다 더’ 정상이라는 것이지요.

언젠가 우연히 비행기 옆좌석에 앉은 영국인 미녀와 이야기를 나눈적이 있어요. 그녀도 나도 스톡홀름 마라톤을 완주한 경험이 있다는 것을 우연히 알게 되어 이야기를 몇시간 나누게 되었는데요, 이 멋있는 30대의 여자를 통해서 영국에서 벌어지는 ‘브렉싯’에 대해서 듣게 되었어요. 아니 Brexit이 얼마나 평범한 영국인들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는지 듣게 되었다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겠네요. 이렇게 정치에 좀 미친 상황도 어쩌다 있지만, 내가 알기에는 대부분의 경우, 개인주의가 발달한 선진국에서는 사람들이 정치에 관심이 없어요. 따지고 보면 Brexit도, 자기들 일자리에 그리고 삶에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영국사람들이 광분하는 것이지 그렇지 않았다면 축구만큼도 영국인들의 관심을 끌지못했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선진국 사람들이 정치에 크게 관심이 없는 것은 첫째로는, 정치가 사람들의 삶을 현저하게 발전시키거나 크게 변화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이미 경험적으로 알기 때문이겠고 둘째로는, 그렇게 자기와는 별로 그리고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곳에 에너지와 시간을 낭비하기 보다는 자기 자신과 관련된 곳에 (다른 사람들에게 왈가왈부할) 에너지를 쓰는 것이 더 낫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지 싶네요.

무가베가 죽어도 짐바브웨는 당장 크게 달라지지 않아요. 아니, 짐바브웨의 발전을 크고 길게 보면 무가베는 그저 일어날만한, 이빨을 오랫동안 닦지 않고 좋지 않은 것을 먹는 버릇을 가진 사람의 이빨이 썩는 일이 벌어지는 것처럼, 그런 종류의 일이었지 무슨 결정적인 일이나 사건이 아니었다는 것이 내 생각이예요. 히틀러가 일차대전에 하사관으로 참전해서 부상당했을때 우연히 어떤 영국군인이 자비를 베풀어 죽이지 않았다는데요, 그때 히틀러가 죽었다고 그 다음에는 세상이 평화롭고 전쟁이 없었을까요? 어금니가 썩을 상황이 지속된다면, 오른쪽 어금니가 이미 빠져버린 상태에서 왼쪽 어금니가 썩게 되는 것이 아닐까요?

물론 썩은 이빨 아프게 빼면서, 구강 관리하지 않고 나쁜 버릇을 가졌던 자신을 깨닫고 구강관리의 전기로 활용하는 사람도 있겠지요. 또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을테고요. 담배를 힘들게 끊어서 만암의 근원을 멀리했지만, 금연이 다이어트와 운동에 직접적인 원인은 되지 못할 확률이 높지 않을까요?

꼰대짓을 하는 것이 왜 바보짓인지 너무 길게 이야기 했나요? 왜 지나치게 오지랖 넓은 짓을 하면서 자신의 에너지와 삶을 낭비하는 것이 길고 크게 보면 (그리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보면) 어리석은 짓인지 너무 장황하게 이야기 했나요? 가진 것이 별로 없고 아는 것이 별로 없는 우리같은 보통사람들은 어쩌면 월나라 서씨의 찡그린 얼굴이라도 따라하는 것이 자신에게는 훨씬 더 이익이 아닐까요? 바로 이 말을 하고 싶었어요 🙂

혹시라도 이 글의 의미를 ‘무기력 무책임 무감각’ 이런쪽으로 해석했다면, 이글들을 읽어 보면 좋겠어요. 비행기 타봤지요? 이륙직후 승무원들이 비상착륙 교육할때 뭐라고 합니까? ‘자신이 먼저 산소 마스크를 확실하게 착용을 하고난 이후에 주변의 가족과 다른 승객을 도우라’고 하지요. 내 경험에 따르면, 개인주의가 발달한 선진국에서는 단지 비상착륙뿐 아니라 일상 사회전반의 모든 일들이 바로 이러한 상식을 근거로 (이러한 상식을 인정하며) 돌아간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개인의 인생도 마찬가지가 아닐까요. 우리는 같은 한계와 수준을 공유하는, 어떤 주어진 시간과 공간속에서 잠시 있다가 가는, 비슷한 사람들입니다. 역사를 바꾼, 역사에 남을, 시공을 초월한 위대한 영웅이나 성인은 거의 없어요. 내 주변에는 확실히 없습니다. 아마도 당신 주변에도 거의 없을꺼예요. 그러니 그런것 될려고도 하지말고 찾으려고도 하지말고 애먼사람 등떠밀어 그렇게 억지로 만들려고도 하지 마세요.

‘자신이 먼저 산소 마스크를 확실하게 착용하고 나서 주변 사람들을 돌아보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해주는 것’ 이것이 보살행이며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공존 그리고 개인 행복 추구의 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옛날에 아내가 멋을 좀 부릴때면 ‘월나라 서씨 몸종’ 운운 하면서 야비하게 놀렸던 적이 있었는데요, 어쩌면 아내는, 내가 오늘에서야 깨닫는 이 진실을 이미 그 옛날부터 알고서 몸소 실천하고 있었던지도 모르겠어요 🙂

개인주의 그리고 문화의 차이 – 세번째 이야기

서양아이들은 철이 일찍든다지요. 빠다 먹어서 그런가 🙂

언젠가 네덜란드 음악가 안드레 리우 이야기할때, 그 사람의 초기 대표 음반인 Dreaming을 우리 아이가 수천번을 들으며 잠이 들어서 머리에 인이 박혔을 것이라고 했었지요. 무슨 조기교육? 언젠가 부모의 카르마가 자식들에게 대를 잊는다고도 했었는데요, 아내의 말에 따르면, 아시안 아이들이 지각을 하거나 오전에 유치원에서 맥을 못추는 일이 많다고 해요. 왜 그런가 하면, 설령 부모가 이곳에서 태어난 이민 2-3세라고 하더라도, 자기들의 부모가 했었던대로, 자기 아이들을 어른들 주변에서 뒹굴면서 밤늦도록 함께 있게 하다가 불규칙적으로 잠자게 하니 그렇다고 했어요. 갑자기 왜 이런 이야기를 할까요?

서양아이들이 철이 일찍드는 이유는 ‘부모가 오냐오냐 오래 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말을 하려고 하는 것이예요. 고집이 세고 자기주장이 강한 아이를 한국에서는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지 싶은데요, 부모세대가 하도 없이 살고 또 눌려 살다 보니 한이 맺혀서 자식이라도 좀 큰소리 치며 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그러는 면도 있지 않을까 짐작해요. 그런데 그런 성격은 이곳에서는 미숙아 혹은 성격에 문제가 있는 철부지로 취급되요. 들으면 싫어하겠지만, 언젠가 어떤 일본지식인이 ‘한국엄마들이 지하철이나 식당에서 제멋대로 구는 아이들을 제대로 교육하기 시작할때부터 한국도 선진국이라 불리게 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했던 기억이 나요. 물론 나도 100% 동의 🙂 아주 어려서 젖먹이며 안아 기르는 거야 어딘들 다르겠나요 하지만 아이가 한두살이 되면서부터 (정확한 시기를 기억 못하겠네요) 이곳에서는 소위 말하는 routine을 (일정한 생활 ’습관’) 적용시켜 기르는 것이 일반적이예요. 저녁먹고 재미있게 놀다가 이른 저녁이 되면 자기방으로 데리고 가요. 엄마가 (그리고 아빠도) 방에서 함께 노래도 불러주고 책도 읽어주며 잠을 잘 자도록 도와주다가는 딱 문을 닫고 나와요. 우리 경우는 ‘Dreaming’ 시디를 늘 틀어 놓고선 나왔지요. 그래서 아이가 그 음악을 수천번 들었던 것이지요. 좀 적응의 기간이 필요한 경우도 있겠지만 결국 아이는 아무리 난동을 부리거나 악을 써도 (아이에게 위해가 되는 상황인지는 부모가 잘 봐요) 결코 나타나지 않는 부모를, 다시말해서, 아무때나 같이 뒹굴면서 ‘오냐오냐 하지 않는 상황을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지요. 잔인하다고요? 아니지 싶은데요. 아이의 인격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요? 이것 하나만 듣고서 나머지 아홉은 모르면서 하는 말 같은데요 🙂 우리가 어떤 과정에 대한 언쟁을 벌이면서 결말이 나지 않을때는 그 과정이 초래한 결과들을 보면 해답이 나오지 않을까요? 물론 또 다른 종류의 언쟁이 다시 시작될 수도 있겠지만요…

가난이 정말 문제가 되는 것은, 물리적으로 가난을 벗어나고 난 이후에도 정신적으로 가난한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이라고 언젠가 말했어요. 아시아 아이들이 부모와 뒹굴게 된 것은 어쩌면 그 부모 혹은 그 조부모 시절, 가난한 단칸방에서 온 가족이 뒹굴던데서 비롯되었을 수도 있겠지요. 지금 그 2-3세들은 성실하게 노력하여 방이 여럿 있는 큰집에서 살면서도, 마치 단칸방에 사는 것처럼 살고 있다는 말이예요.

이야기가 좀 옆으로 더 새는데요. 옛날에 훌륭한 부모와 착한 아들이 살았대요. 아들은 부모님이 제사 지내는 모습을 늘 지켜보면서 자랐는데요, 아들이 어릴때 집에서 고양이를 길렀어요. 제사상에 생선이나 고기를 얻을때면 몰래와서 먹어보거나 훔쳐가는 고양이를, 부모님은 제사를 지낼때면 방 한쪽에 좀 목을 묶어 놓았어요. 세월이 많이 흘러 이제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그 착한 아들이 제사를 모시게 되었는데요. 이 착한 아들은 정성껏 제사를 준비하면서 어릴적에 보았던 그 고양이를 기억했대요. 부인이 고양이를 싫어하기 때문에 집에는 없는대요, 잘 아는 집에서 좀 고양이를 빌어다가 제사를 지내는 날에만 방 한쪽에 목을 묶어서 놓아 두고선 제사를 올렸대요 🙂 만약 이 착한 아들이 장차 큰 벼슬을 하게 되고 큰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 된다면, 아마 제사용 고양이 빌리거나 혹은 기르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게 되지 싶네요. 우리는 때로는 몰라서 장님 노릇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알고도 아무 생각이 없이 살다 보니 그냥 장님으로 지내는 경우도 있지 싶어요.

다시 원래 이야기로 돌아와서, 이렇게 ‘습관’을 어릴때부터 몸으로 익히며 자라나는 아이들, 세상에 아무리 악을 써도 안되는 것이 있고 또 어떤 ‘룰 속에서 플레이’ 해야 한다는 것을 아기때부터 배우는 아이들, 이 아이들에게는 일찍부터 ‘자기 스스로 해야한다 (살아야 한다?)’는 개념이 저절로 싹트기 시작하고, 이러다보니 일찍 철이 드는 것이라고 나는 생각해요. 빠다 때문은 아닌것 같아요 🙂

철이 든다는 의미 속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어쩌면 ‘역지사지’ 하는 능력이 아닌가 해요. 언젠가 읽었는데, 미스월드대회처럼 겉으로 드러나는 언행으로 경쟁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모습을 미리 촬영해서 그 화면에 비친 스스로의 모습을 전문가와 함께 보고 분석하여, 자신의 말과 행동거지를 수도 없이 수정한다고 해요. 자신이 상상하는 ‘화면에 비치는 내 언행은 이럴꺼야’와 실제 화면에 나타는 자신의 모습이 얼마나 다른지는 보통 사람들은 상상조차 못한다고 해요. 다른 사람들의 입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그런 입장이 된 상황을 잘 그려볼 능력과 의사가 있어야 하겠지요. 역지사지 그저 말로 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으로 쌓는 엄연한 능력이지 싶네요. 오직 스스로의 노력으로 스스로 일어서 본 사람만이, 그것이 무었을 의미하는지를 이해하고 또 그런 입장에 있는 사람들에게 자발적으로 도움과 자비를 베풀 수 있다고 나는 생각해요.

바로 이런 이유로, 이나라 사람들이 매우 개인적인 경향이 높으면서도, 이기적이지 않고 남을 자발적으로 잘 돕는다고 나는 생각해요. 아이는 아비를 닯아서 축구를 잘 못했는데요, 어리버리한 아이가 축구팀이나 어떤 운동팀에 끼어서 함께 시합을 할때도, 어떤 아이도 부모도 그 어떤 방법으로도 싫어하거나 배척하는 느낌을 주지 않았어요. 나는 이것 정말 감사하게 생각해요. 내 생각에는, 물론 여유있고 또 성격좋은 사람들이 많아서 그렇겠지만 그 바탕에는 ‘역지사지’ 하는 부모들의 성숙함이 있었고, 그 영향 아래있는 아이들이 감히 부모들이 보는 앞에서 그들을 거역하면서, 잘 하지 못하는 동료 친구에게 나쁘게 할 ‘상상조차’ 하지 못했던 것이 더 큰 이유였다고 생각해요. 이렇게 버릇이 대를 이어요. 그리고 이렇게 대를 이은 버릇들이 모이면 그 사회의 어떤 큰 흐름 혹은 수준이 되는 것이겠지요.

지진이 났을때도 또 어떤 불행한 일을 당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방송이 될 때도, 수 많은 이곳 사람들이 자기가 할 수 있는 것을 그들을 위해서 자발적으로 기꺼이 그리고 ‘조용히’ 해준 아름다운 미담들이 너무나 많아요. 그래서 사회전체가 어떤 ‘안전망’ 같은 것으로 둘러 쌓인 느낌이 들어요. ‘내가 곤경에 처하면 누군가가 도와준다’는 잔잔하지만 확실한 믿음이 (경험을 통해서 오래 증명된 것이) 구성원 각자의 마음에 있는 것이지요. 이런 믿음이, 곤경에 처한 타인에게 기꺼이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또 다른 큰 이유라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겠지요. 개인주의적이지만 결코 이기적이지 않아요. 한국은 전체주의적이라 얼핏보기에 덜 이기주의적이리라 생각하지만, 내가 보기에는 그렇지 않아요. 고양이 빌리는 것도 그만두고 또 방 여러개인 큰 집에서 정말로 부유하게 사는 것에도 익숙해지길 바래요. 우리 모두가 참된 의미의 ‘부자 되기를’ 기원합니다.

개인주의 그리고 문화의 차이 – 두번째 이야기

옛날부터 흥얼거리던 노래중에 이런 가사가 있었다 ‘숲에서 나오니 숲이 보이네 푸르고 푸르던 숲…’ 그리고 언젠가 이런 말도 했었다 ‘카르마에 휘둘리고 있을 당시에는 그것을 알아 차리기가 무척 힘들다’. 오늘은 어제부터 시작한 ‘개인주의’ 이야기를 비교문화적인(?) 시각에서 좀 더 하고자 한다.

• 소속감 혹은 ‘자신을 자신이 속한 집단과 동일시 하는 어떤 경향’이 한국과 이 나라는 무척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 팔았던 어떤 물건이 (서비스가) 잘못되었거나 혹은 반대로 잘되었을때, 한국에서는 흡사 자기 잘못인 듯한 태도로 사과를 하거나 혹은 기뻐하는데 반해서, 이곳에서는 자신과 자신이 속하거나 일하는 집단을 동일시 하는 경향이 별로 없다. 그리고 이런 태도를, 소비자나 상대방의 입장에서도 또 당연하게 생각한다. 한마디로, 회사일을 가지고 자기의 일처럼 이리뛰고 저리뛰지도 않고 마음을 졸이지도 않으며, 그저 계약서에 써진 상식적인 수준 만큼만 자신의 삶과 에너지를 일터에서 사용한다. 다시말하건데, 반대편이나 혹은 위에(?) 있는 사람들도 그 이상을 기대하거나 요구하지 않는다.

• 앞서말한 태도와 관련이 있지 싶은데, 예를들자면 백화점에서 일하는 사람이 어떤 실수나 잘못을 했다고 (좋지 않은 물건이나 서비스를 제공했거나 혹은 제공하는 방법에서 매끄럽지 못했다고) 그 개인을 직접적으로 나무래고 또 무릎을 꿇리며 사과하게 하는 짓 따위는 이곳에서는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이유라면, 첫째로 위에서 언급한대로 사람과 그가 속한 집단을 (어떤 물건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그 댓가로 실질적인 이익을 취하는 주제를) 동일시 하지 않으므로 ‘무슨 이런 썩을 상점 / 회사 / 단체가 있나’ 이렇게 생각하지 (물론 ‘종업원 교육이 개판이구만, 이 회사 곧 망하겠네’ 이정도는 마음속으로 덧붙이겠지) 개인 차원으로는 잘 확대하지 않는다. 두번째로, 평등한 사회구조상 개인의 권리가 매우 존중된다. 위치고하를 막론하고 ‘좀 해달라’고 부탁하지, 돈을 줬고 당신 입장이 이러저러하니 네가 당연히 이렇게 해야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상대방이 입고 있는 제복보다 그 사람 본연의 권리가 훨씬 더 크다고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당연히 생각하므로, 제복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문제를 개인적인 차원으로 확대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 그래서 ‘지나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종이 이곳에는 없다고 나는 생각한다. 옛날에 학생때, 한 친구에게 ‘어디 들어가면서 누군가가 문 열어주기를 당연한 듯 기대하는 넘’과 ‘목욕탕에 벌러덩 드러누워서 다른 사람의 힘으로 때미는 것이 당연한 넘’은 대가리가 근본적으로 좀 잘못됬다고 내가 말했었던 기억이 나는데, 그런 ‘지나친’ 서비스 업종은 이곳에 거의 없다. 인건비가 비싼 것도 한 이유일지도 모르지만, 사려고 상상하는 사람들조차 없으니 당연히 팔고자 하는 사람들도 없는 것이 더 맞지 싶다. 어제 ‘개인주의가 발달한 사회에서는 자신의 일을 자기 스스로 해내기를 서로가 기대한다’고 했었던 기억이 나나? 그리고 업종 자체의 존재유무만을 가지고 따지자는 것이 아니라, 다른사람들을 ‘한국에서 그런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로’ 이곳에서 대하는 경우와 그럴만한 업종이 잘 없다는 뜻이다.

• 언어를 연구하는 사람들 말이, 영어는 존대어법이 없고, 같은 동양권에서라도 중국어는 상대적으로 훨씬 적은 편이고, 일본어가 가장 존대어법이 많고 복잡하며 한국어는 그 중간쯤 된다고 하더라. 영어문화권에서는 어떤 말을 사용하는가 보다는 (구조적으로 제한이 있을터이니) ‘같은 말이라도 어떤 태도나 혹은 방식으로 전달하는가’를 더 중요하게 여기며, 또 그런식으로 존대를 (존중을) 표현한다. 여담으로, 어제 어떤 국제적인 온라인 서비스회사에 전화를 했는데, 아마도 주말이라서 인도 어디에 있는 콜센터와 연결이 되었던 것 같다. 24x7x365 서비스를 제공하는 큰 회사들은 주말이나 야간에, 인도에 있는 콜센터로 서비스 번호를 되돌리는 경우가 많다. 영어가 좀 되고 또 시간에 관계없이 일하고자 하는 지원자들이 많아서 콜센터 비즈니스가 인도에서는 큰 산업이란다. 말끝 마다 ‘Sir sir’ 하면서 버벅대며 시간을 질질 끄는 것에 거부감이 많이 생기더라. 그런 ‘말’보다는, 좀 더 자연스럽고 숙련된 ‘태도’로 응대해주면 좋으련만 ‘문화적차이’ 때문에 그만큼까지 기대하기는 무리라는 것을 나도 안다. 내가 사회성이 부족하고 성격이 급하고 또 못된 면이 있어서 (무슨 삼위일체냐? 인생 쉽지 않았겠네?) 이런 경우에 통화를 중단하고 다른 방법을 찾는 경우가 이전에는 많았었는데, 어제는 그런 시도를 시작하다가 상대방이 어필하는 말을 좀 들어주고 더 시간을 주어서 좋게 잘 끝을 냈다. 밤에 누워서 문득, 이 여자 아마 중년의 인도여자 같은데, 그녀도 그 콜센터에서 퇴근하면, 남편과 아이들에게 되돌아 가고, 또 다른 어떤 어려움도 있을지도 모르는데, 일터에서조차 괴롭지 않게 잘 끝나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도 옛날에 이곳에서 콜센터를 지원하는 기술자로 일했던 적이 있어서 아는데, 이런 콜들을 매니져들이 모니터 하다가 고객을 잘 응대하지 못하고 콜을 놓치면 혼난다. 그리고 만약에 이런 곳에서 일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줄을 서 있는 상황이라면 아마도 쫒겨나겠지. 죽을때까지 결코 다시 만날 수 없을 스쳐 지나간 인연이었지만, 그녀가 하루를 잘 마치고 또 보수도 무사히 받아서 집으로 돌아가 가족들과 식사도 하고 또 자기 나름대로의 행복을 찾기를 나는 마음으로 기원하였다. 내가 지금도 그렇지만, 예전에 더 버벅거리는 기술자였을때, 그 누군가도 어쩌면 내게 이렇게 해주었고 또 기원해 주었을지도 모른다. 철드네… 붓다의 가르침이 차가운 콘크리트를 뚫고 스며드는 것인가 아니면 나이와 관련된 단순 호르몬 교란인가 🙂

• 일반화하는 것처럼 들리겠지만, 내가 보기에는 선진국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하다못해 다혈질이고 가족간의 유대가 강하다는 스페인이나 이탈리아조차도, 개인주의적 경향이 훨씬 큰 것을 볼 수 있다. 일본도 그렇고. 우리나라도 새로운 세대들은 어쩌면 물질적으로 훨씬 풍요롭고, 영어권 문화에 오래 노출되고 또 인터넷사용등의 이유로 이러한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상대적으로 훨씬 크지 싶다. 동시에, 더불어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이전세대들의 영향으로 집단주의적인 경향도 함께 가지고 있는 (예를들어, 자신의 무지나 선대의 카르마에 기인한, 일본에 대한 지나치거나 이율배반적인 태도등) 어떻게 보자면 좀 복잡한 상황이 아닌가 싶다. 한 두세대가 더 지나야 안정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 내가 존경하는, 붓다의 가르침을 전달하는, 스승들은 자주 이런 말을 하였다. 어떤 것이 존재한다 혹은 실제한다는 것을 ‘안다는 것’ 만으로도 (‘자각하는 것’ 만으로도) 큰 발전이며 장차 더 큰 변화의 중요한 전기를 마련하는 의미있는 것이라고. 내가 전에 말했는데 ‘카르마에 휘둘리고 있을때에는 그것이 카르마인줄 깨닫기가 무척 어렵지만, 만약 깨닫기 시작한다면, 그때부터는 전세를 역전시킬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된다고.’ 그래서 내가 당신께 이야기 해보는 것이다. 당신이 혹시 생각해 보지 않았거나 깨닫지 못한 당신의 자화상을, 숲밖에서 보는 숲속에 있는 당신의 모습을… 어쩌면 훗날 어떤 실수를 저지른 백화점 종업원이 두려움 속에서 당신에게 혹시라도 무릎을 꿇을때, 그 사람을 일으켜 세워주며 ‘이렇게 하는 것은 옳지 않다. 그리고 당신 개인의 잘못만이 아니니 앞으로는 이렇게 하지 말라’고 좋은 태도로 말해 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다보면 언젠가 한국도 그런 멍멍이 같은 일들이 그야말로 멍멍이 같은 일들로 모든 구성원들이 자연스럽게 여기게 되는 나라, ‘개인주의’가 잘 발달된 선진국이 되지 않을까… 참된 해탈은 해탈이라는 말 자체가 필요 없다. 니르바나는 어떻게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자신의 삶 속에서 ‘경험’하는 것일 뿐이라더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가 모르겠지만 그래도 굳이 밝히고 싶다 🙂

개인주의 그리고 문화의 차이 – 첫번째 이야기

우연히 이곳에서 아래에 보이는 도표와 ‘개인주의’에 관련된 설명을 보게 되었다. ‘개인주의적 성향’을 나라별로 표시한 이 도표에 따르면, 미국이 개인주의적 성향이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한국은 반대로 집단주의적 성향이 높은 국가중의 하나로 나타나 있다. 같은 아시아권인 일본은 스페인과 소련사이에 자리잡고 있다.

상당히 흥미로운 통계라는 생각이 들어서 인터넷을 더 뒤지며 교차검증을 시도하던 중에 원문으로 생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몇개의 섹션으로 구성된 것인데, 그 중에서 ‘개인주의’ 편에 쓰인 글을 아래에 옮겨와 대략 번역하였다.

이토록 차이가 크게 나는 두개의 상이한 나라에서, 이럭저럭 살아온 내 자신이 나름대로는 놀랍고(?) 또한 한국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일들을 이 통계를 기억하면서 되씹어 보니, 나름대로 설명이 되어지는 부분도 좀 더 있다. 그대 생각은 어떤가?


Individualism is the one side versus its opposite, collectivism, that is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are integrated into groups. On the individualist side we find societies in which the ties between individuals are loose: everyone is expected to look after him/herself and his/her immediate family. On the collectivist side, we find societies in which people from birth onwards are integrated into strong, cohesive in-groups, often extended families (with uncles, aunts and grandparents) which continue protecting them in exchange for unquestioning loyalty. 개인주의는 집단주의 (혹은 전체주의?)와는 상반되는 수준만큼 (정도로) 개인들이 단체에 참여하고 기여하며 그 일부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주의자의 입장에서는 사회구성원 개개인이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각자가 자신과 자신의 가족을 스스로 보살피는 것이 기대된다. 집단주의자의 입장에서는 그 구성원들이 태어나면서 부터 강하고 끈끈한 유대로 단체와 대가족의 일부가 되며, 그러한 무조건적인 충성의 댓가로, 단체와 대가족은 그 구성원을 지켜준다.

For example, Germany can be considered as individualistic with a relatively high score (67) on the scale of Hofstede compared to a country like Guatemala where they have strong collectivism (6 on the scale). 예를들면 (도표에서 보여주듯이) 독일은 상대적으로 과테말라같은 나라보다 개인주의적인 경향이 훨씬 높다고 할 수 있다.

In Germany people stress on personal achievements and individual rights. Germans expect from each other to fulfil their own needs. Group work is important, but everybody has the right of his own opinion and is expected to reflect those. In an individual country like Germany people tend to have more loose relationships than countries where there is a collectivism where people have large extended families. 독일 사람들은 개인의 성취와 개인의 권리를 중요시 여긴다. 그들은 각자가 스스로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들을 이루기를 기대한다. 단체의 일이 중요하긴 하지만,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의견을 가질 권리가 있으며, 그런 구성원들의 의견이 단체에 반영되기를 (구성원들은) 기대한다. 독일처럼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나라에서는 인간관계가 보다 느슨한 경우가 많다. 사람들이 대가족에 소속되어 집단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나라와 비교하자면 그렇다.

The United States can clearly be seen as individualistic (scoring a 91). The “American dream” is clearly a representation of this. This is the Americans’ hope for a better quality of life and a higher standard of living than their parents’. This belief is that anyone, regardless of their status can ‘pull up their boot straps’ and raise themselves from poverty. 미국은 극도로 개인주의적이라고 볼 수 있다. ‘아메리칸 드림’은 그것을 확실히 대변한다. 그들이 떠나온 부모의 나라보다도 더 나은 삶과 더 높은 생활 수준을 이를 통하여 (개인주의에 바탕을 둔 ‘아메리칸 드림’을 통하여) 성취하고자 희망한다. ‘아메리칸 드림’이란, 사회적 위치를 막론하고 누구나 ‘자신의 구두끈을 졸라매면’ (개인적인 노력을 기울이면) 가난으로 부터 벗어나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