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체조 종목중에 ‘도마’라는 (뜀틀) 종목이 있다. 도마의 기술중에 ‘양1’ 이라는, 국제 체조 연맹에 공식적으로 등재된 기술이 있는데, 처음에는 최고 단이도 기술 (유일무이) 이었다가 지금은 최고 단이도 기술중의 하나가 (3개 중의 하나) 되었다고 한다.
양학선이라는 한국 체조 선수의 이름을 본땄으니 말하지 않아도 이 분이 ‘창조한’ 기술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겠다. 이 분은 2012년 런던 올림픽 당시, 이 지구상에서 자신 이외에는 아무도 흉내 낼 수 없었던 이 기술을 구사하여 금매달을 땄다. 그 당시 ‘양1’은 유일한 최고 난이도의 기술이었으니, 자신이 연습하고 개발한 이 기술을 실전에서 제대로 발휘하기만 하면, 다른 참가자들이 아무리 완벽하게 이미 알려진 다른 기술들을 구사하더라도 이길 수 없는 상황이었고, 그는 그렇게 금매달을 땄다. 한국 체조 역사상 최초의 금매달이었다. 이렇게 금매달 따는 분도 있다.
자기 자신의 삶을 살아야 한다. 막연한 소리 같지만, 연구하고 노력하면 점점 그렇게 살게 될 것이다. 자기 자신의 삶을 살고 있다는 증거의 하나는, 아직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익숙하지 않는 것들을 의식적으로 시도하면서, 실패하고 갈등하고 괴로워하는 자기자신을 자주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더 많이 보고 듣고 읽는다고 알게 되며, 또 나아가 자신의 삶을 살게 되는 것이 아니다. 당신이 ‘양1’을 아무리 많이 보고 듣고 읽어도 그대의 몸으로 구현할 수 없다. 그 비슷한 동작, 아니 도마를 어떻게 한 번 뛰어 넘을 수 조차 없을 것이다. 보고 듣고 읽는 것은 시도하는 것이 아니다. 자기 자신의 삶을 사는 것이 아니다. 아무런 실패나 괴로움 갈등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어쩌면 그 과정에서, 당신도 마치 무슨 전문가가 된 것처럼 어떤 도마의 이론을 말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자신과 주변을 불행에 빠트리는 길이다.
당신의 몸매가 어떻든지 또 어떤 운동 능력을 가졌든지 간에, 당신 자신의 도마를 시도하라. 이것이 사는 길이요 행복으로 가는 길이다.
시도 하는 삶이 그 촛점을 자신에게 맞추고 있을때, 시도 하지 않는 삶은 그 촛점을 남들에게 맞추고 눈을 밖으로 돌리고 있다. 단지 보고 듣고 읽고 또 떠들기 때문에. 그렇게 흘러가고 또 늙어가는 것이다.
나는 왜 27살 먹은 양학선씨를 ‘이 분’이라는 존칭으로 부르고 있는가? 금매달 때문에? 그보다는, 이 분이 ‘창조자’이기 때문이다. ‘오리지날’을 만든 분이기 때문이다. 위대하지 않은가?
오늘, 남들과 말고, 당신 자신과 갈등하며 괴로워 했던가? 아니면 아무 생각이 없었거나 혹은 세상살이가 너무 자연스럽고 수월 했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