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 수입되는(?) 수많은 신부들, 천문학적인 규모의 한국-베트남간의 경제협력 그리고 우리세대만 하여도 일부 사람들은, 자신들이 직접 베트남전쟁에 참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에 대한 상당한 죄책감과 미안함을 가진 경우도 있어서 베트남은 이런저런 이유로 우리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나라가 아닌가 싶다. 개인적으로는 매우 친했던 형님뻘 되는 베트남 친구도 있었고 또 직장에서는 매주 탁구를 치는, 보트피플로 이곳에 정착한 베트남인 동료도 있다.
이 훌륭한 도큐멘터리를 보기전까지 나는 내 자신이 베트남전쟁에 대한 상당한 그리고 정확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고 착각을 하였었다. Ken Burns라는 그야말로 ‘위대한 감독’이 연출한 이 탁월한 베트남전쟁 도큐멘트리를 나는 2년전에 처음 보았었다. 10부작인데 약 15시간에 걸친 대작이다. 이번 여름 좀 한가한 시기에 10부작 전체를 다시 시청하였다. 2주에 결쳐서 보았는데 오늘 오전에야 끝이 났다.
언젠가 베트남을 한번 방문하고 또 기회가 된다면 무언가 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일을 했으면 좋겠다는 바램이 있다. 그런데 한국측에서 베트남정부에 어떤식으로건 사과의사를 (전쟁범죄와 관련하여) 표명 하려고 하면, 베트남정부는 ‘경제협력을 강화하면 좋겠다’면서 늘 직접적인 응대를 피하는 태도로 일관해 왔다는 것을 듣고서 의아해 했었다. 지금도 베트남에 수없이 남아있는 ‘우리 부모형제를 학살한 한국군을 대대손손 결코 잊지 않겠다’는 원한 맺힌 비석들과는 대조적인 반응이 아닌가?
얼마전 한 베트남 민간인 희생자의 유족이 한국정부를 (국방부) 상대로, 자신의 부모도 희생된 구체적인 민간인 학살사건의 진상규명을 요구하며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던 일이 있었다. 그 수많은 증거들과 확인된 사실들에도 불구하고 한국정부가 그 유족에게 보였던 반응은, 일본 전범들과 합사되어 있는 한국인의 영령을 분리해 달라는 소송에서 최근 일본정부가 보였던 반응과 매우 유사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소송결과를 발표한 일본인 판사는 딱 한마디 ‘기각한다’고 했다던가. 한국정부는 그 베트남 유족에게 ‘증거 불충분’ 이라고 말했다더만.
어쨋던 나중에 듣게 된 이야기인데, 승전국인 베트남은 말 그대로 전쟁에서 승리하였기 때문에 패배한 나라, 특히 전쟁의 주체도 아니며 용병을 파견했었던 한국측으로 부터의 사과 따위는 좀 웃기는 이야기로 치부한다는 말을 들었다. 한마디로 자신들이 승리한 이 전쟁에 관한한, 한국은 왈가왈부할 대상조차 못된다는 태도다. 듣고보면 일리가 있기도 하고 더 쪽팔리는 기분도 든다.
그 도큐멘터리 이야기로 돌아가면, 이것을 보기 전에는 나는 나름대로 베트남이라는 나라와 국민에 대한 (미안한 마음과 더불어) 존중 혹은 존경하는 마음이 없지 않았었다. 세계 최고의 강대국 2 나라를 상대로 이십년 전쟁을 치루어, 프랑스군대도 또 미국군대도 힘으로 박살내고 자기들의 영토에서 쫓아낸 자존심의 나라요 국민이라는 생각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두번째로 도큐멘터리를 보면서 다시금 깨닫게 되고 또 느끼게 된 것은, 미국과의 십년전쟁은 사실상 ‘미국이 개입했던 베트남 내전’이었다는 것이다. 베트남 사람들끼리 공산주의니 자유민주주의니 하면서 편을 갈라, 백만 이백만 서로를 죽이는 그 미친 내전에, 미국이 자기들의 이익을 위해서 참전했었고 그들 자신의 무능함과 어리석음으로 패전하고 쫒겨났던 전쟁이었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도큐멘트리 마지막에, 물론 세월이 반세기 가까이 지났기에 할수 있는 말이겠지만, 그 당시 참전했었고 또 승리했던 북베트남 군인들과 베트콩들 중에서 이런말을 하는 사람들이 등장하였다. ‘지금 돌이켜 보건데, 그런 엄청난 희생을 치룰만큼 그 전쟁이 가치가 있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나도 무척 공감이 되었다.
붓다의 가르침을 배우고 또 따르고자 하는 사람이 되어 되돌아 보는 지난 역사, 특히 이렇게 인간들의 의지가 충돌했던 큰 갈등과 폭력의 기록들은, 내게 와닿는 바가 이전과는 좀 다른 느낌이다. 단지 살생이나 폭력을 하지말라는 도덕책 수준의 이야기가 아니고. 다음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