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를 해결한다고 사랑이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문제를 해결한다고 사랑이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담배를 끊는다고 건강이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약점을 보완한다고 다른 강점이 강해지는 것도 아니며, 또 보완된 약점이 새로운 강점이 되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사랑이 ‘정말’ 커지면 문제가 해결 된다. 어떤 식으로 건. 덮히건 잊혀지건 실제로 함께 해결을 하건.
건강에 ‘참으로’ 신경을 쓰고 크게 투자를 하면, 피우던 담배가 멀어지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국은 끊어진다. 저절로.
강점을 더욱 살려서 훨씬 더 강해지면, 약점이 더 이상 그때 그 치명적인 약점으로 남아 있지 않게 된다. 그것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도. 그러니,

문제에서 시선을 의도적으로 때고, 어떻게 하면 사랑을 더 크게 더 많이 만들 수 있을까 힘껏 연구하고 노력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당신이 원하는 결과를 가져다 줄 가능성이 더 높다.
담배를 계속 피우라. 그리고 죄책감도 버리고 신경도 뚝. 담배를 물고 인터넷을 뒤지고 전화를 걸어, 장안 최고의 선남선녀들이 모이는 체육관 / 운동시설 / gym을 찾아 등록하라. 담배를 상으로 스스로에게 걸고서라도, 정성을 다해 옷을 차려 입고 트레이너를 상전 대접하며 형편이 허락하는 최대한 자주 다녀라. 그것뿐. 다른 약속은 필요 없다. 이렇게 시간이 지나면 건강해 질 것이다. 그러면 되지 않았나? 담배를 피건 말건 그때는 중요하지 않게 될 것이다. 하지만 장담하노니, 그때는 담배가 그대에게 거의 아무런 영향력이 없게 될 것이다.

부정적인 것들에 지나치게 집중하면, 그것들을 당신이 원하는데로 변화 시키기 전에 당신 자신이 그 부정적인 에너지에 의해 부정적으로 변화 당할 가능성이 높다. 효과도 적지만 위험도가 높으니 이 길은 피하는 것이 좋다.
대신, 그 부정적인 것과 상극인 긍정적인 그 무었을 찾아내어, 그 긍정적인 대상에만 집중하라. 그러면 그 긍정적인 대상을 노력 끝에 얻게 될 것이요, 또 시간이 지나면 그 부정적인 대상에 변화가 생길 것이다. 스스로 줄어 들어 없어지던지, 그것이 더 이상 당신에게 그리 큰 문제가 아니게 되어 버리던지, 아니면 전에 생각하지도 못했던 새로운 방법을 깨닫게 되어 해결을 하게 되던지.

시간이 걸린다.
이렇게 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역시 시간이 걸릴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을 얻게 될 가능성이 더 높다. 반대로 여태까지 하던대로 계속하면 시간이 많이 지나고 나서도 그냥 계속 그렇게 시도만 하고 앉았을 가능성이 더 높다.
일례로, 담배를 피우는 것이 해롭긴 하지만, 그래서 끊는 것이 정말 좋기는 하지만, 인생에 있어서 중요하고 또 제한된 그 시간과 정력을 담배 끊는데만 집중하면서 살 수는 없지 않은가? 그리고 끊고 나도 별로 달라지는 것이 없다니까, 그런식으로는 설령 끊어도…

보살 원장 vs 프로페셔널 원장

주말아침 가족과 함께 동네카페에 왔다. 커피를 주문해 놓고 창밖을 바라본다.
인도인 부부가 어린딸을 데리고 와서 바깥 테이블에 앉는다. 체육복 바지에 슬리퍼 질질. 의자를 이리저리 옮기고 휴지는 널부러지고 설탕하나 제대로 커피잔에 넣지 못하고 상위에 줄줄 흘리고 치울 줄도 모른다. 이런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또 이런 아이들이 자라서 만드는 이 사회는 장차 어떤 모습일까… 나는 한숨을 쉬며 고개를 돌린다.

그 공립 유치원에도 최근 들어 인도나 중국에서 태어나, 부모를 따라 이민온 아이들이 부쩍 늘었다고 한다. 거의 오분의 일이나 된다고 한다. 자식은 부모의 수준을 벗어나기 어려우며, 그 부모는 그들의 부모들과 그들이 이전에 속했던 그 사회의 수준을 벗어나기가 참으로 어렵다는 것을 나는 다양하고 오랜 경험을 통해 보아왔다. 도대체 몇 세대가 지나야 자연스러운 구성원이 될 수 있는지, 그런 것이 가능하기나 한지 아니 그런 것이 도대체 무었을 의미하는지…

보기 드문 어쩌면 상상도 해본 적이 없는 동양인 원장이니, 말도 잘 안통하고 이 새로운 사회의 물정도 잘 모르는 그 부모들이 대부분 의지하고 싶어 한다. 어떤 부모들에게는 이 유치원을 선택했던 이유였기도 하고. 자식 사랑하는 마음이야 어디 누군들 다르랴. 이런 부모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도와주려고 노력하면서도 그 동양인 원장은 자주 뒷골이 땡긴다고 했다. 대다수의 다른 학부모들 눈에는 이전에 본 적도 없고 또 마음 깊은 곳에서는 어쩌면 원치도 않는 이질적인 장면일 수도 있다는 것을 잘 안다고 했다.

금발의 이전 원장은 프로페셔널한 태도와 능력으로 수십 년간 너무도 잘 알려졌던 사람이었다. 내가 묻는다. 그녀라면 어떻게 했을것 같은가? 프로페셔널하게 대해 주었을 것이다. 다른 부모들이나 원생들과 똑같이. 하지만 아마도 마음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여 주지는 못했을 것이고, 당신이 지금 창밖의 인도인 가족을 보며 느끼는 그런 감정을 숨기며 이런 부모들과 아이들을 대하지 않았을까 싶다… 십년 넘도록 같이 일했었으니 맞는 말일 것이다.

이 동양인 원장은 지금 이순간 그리고 오늘을 사는 보살이다. 물론 프로페셔널하다. 충분히 배웠고 모두들 인정하는 경험도 있다. 하지만 음식을 한 그릇 만들어 팔아도 마음이 들어가고 혼이 베어난다고 하는 세상인데, 이 소중한 어린 사람들을 가르쳐 어쩌면 평생을 좌우할 몸과 마음의 습관을 만들어 주는데 단지 프로페셔널 하다고 될까? 모든 관계는 서로의 기를 나누는 행위이며 이 어린 것들도 귀신처럼 알아챈다고 하더만…

이 동양인 원장이 그 어린것들을, 때로 측은한 마음을 숨기면서 스스럼없이 안아주고 또 지나가며 엉클어진 대가리라도 한번 더 만져 주고, 그 버벅거리는 영어하는 부모들에게 한 마디라도 더 조언 해주려고 애쓰는 것이 바로 보살행이며, 그 결과로 이 아이들은 내가 오늘 조롱하는 그런 짱께나 카레로만 남지 않을 어떤 기회를 장차 조금이라도 더 가지게 되리라. 보살행은 때로 은밀하며 자주 어려움을 부른다. 다른 길을 선택해도 아무도 모를 것이며 또한 누구도 탓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보살은 선택하지 않는 듯 선택한다.

나는 그렇게 못한다. 이런 사람들을 *처럼 보며 피해 왔고 또 이런 사람들 때문에 뒷골 땡기는 것은 더욱 더 싫다. 이 보살원장은 말이 없고 나는 말이 많다. 중생은 선택에 대해서 말은 많이 하지만 실제로는 거의 선택하지 못한다는 것을 깨닫기 때문인가…

목련을 좋아 한다는 이 보살원장께, 그 모자라고 힘없고 후진 부모들을 대신하여 올리는 감사의 노래다. 소프라노 김주연님이 그 아가들과 함께 부른다.

더닝 크루거 효과

‘더닝-크루거 효과’ 라고 들어 보았나? 이곳에 간략한 설명이 있다.

누군가가 좀 과장해서 그린 그래프지만 적나라하다. 경험과 실력이 거의 전무한 사람들이 최고 수준의 자신감을 가지고 있고, 계속 경험과 실력을 쌓아가면서도 자신감은 점점 낮아지면서 거의 바닥을 치다가, 아주 많은 경험과 실력을 쌓아 최고의 경지에 이르게 될때 비로소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그 자신감도 초보자들의 자신감에 비해서는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실제 논문에 사용된 그래프다. 검사결과 최하위에 속하는 사람들은 검사전 자신의 능력이 60번째 정도 백분위수에 해당될 것으로 생각했었고 (100명 중에서 자기보다 더 나은 사람이 40명 정도 있을 것으로 예측), 상위 25%에 실제로 속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이 70번째 정도 백분위수에, 그리고 실제로 최상위에 속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이 75번째 정도 백분위수에 해당될 것으로 생각했었다.

우리들 인생도 어쩌면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 그대는 어떤 그룹에 속할것으로 생각하는가?

마라톤 500회

마라톤을 수백번 완주하여 마라톤기록의 새로운 세계를 열고 또 경쟁의 차원을 달리한 ‘남다른’ 사람들이 있다. 몇 년 전에는, 풀코스 마라톤을 500회 완주한 자와 같은 클럽에서 함께 마라톤을 한차례 뛰었던 적도 있었다. 이자는 매주말을 전국을 다니며 마라톤을 뛴지가 수십년이 되었다.

너무 좋아서 매주 뛰지 않고서는 죽겠다는데 또 제 돈들여 찾아가서 제 몸으로 뛰겠다는데 내가 왈가왈부할 바가 아니다. 다만 한가지가 궁금하다. 만약 폴코스 마라톤을 수백번 완주했다는 기록을 아무에게도 알리지 못하는 조건이 붙어 있었다 하더라도 단지 너무 좋아서 수백번 주말을 그렇게 뛰었을 것인가?

매일 5킬로씩 하루도 빠지지 않고 1년 5년 혹은 10년을 달리는 기록은 어떤가? 사람들이 알아주지도 않고 인터뷰도 없고 또 매달도 없겠지만 이것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그 누구보다도 더 건강하고 더 균형 잡힌 행복을 누리지 싶은데? 이것이야말로 그대도 나도 진정 원하는 것 아닌가?